‘로쿠온지(鹿苑寺)’라는 원래 이름을 삼켜버린 금각사(金閣寺)

사리전 금각과 연못 경호지. 사진=우성윤.

일본 교토[京都] 기타야마[北山]에 있는 사찰. 원래 명칭은 로쿠온지[鹿苑寺(녹원사)]이지만, 금박을 입힌 3층 누각의 사리전(舍利殿)이 ‘킨카쿠'[金閣]라는 명칭으로 더 널리 알려지게 되어, 흔히 ‘킨카쿠지'[金閣寺]라고 불린다.

이곳은 원래 사이온지 가문의 별장이었으나, 1397년 무로마치막부 시대의 아시카가 3대 장군 요시미츠가 물려받아 사리전을 중심으로 한 ‘기타야마도노’를 창건했다. 창건 당시에는 정치·문화의 중심지로, 천황이나 명나라 사신을 맞이하는 장소로 이용되었으나, 요시미츠 사망 후 유언에 따라 임제종 쇼코쿠지파의 선종(禪宗) 사찰로 바뀌었다.

일본 국가의 특별사적·특별명승지로 지정된 정원은 창건 당시의 모습을 현재까지 전하고 있으며, 1994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됐다.

건물은 무로마치시대 전기의 기타야마문화[北山文化]를 상징하는 3층 구조다. 각 층은 건축 양식과 용도가 다르며, 시대별 양식을 독창적으로 절충했다. 1층은 후지와라기 양식으로 침전과 거실 용도, 2층은 가마쿠라기 양식으로 관세음보살을 안치한 공간, 3층은 중국 당나라 양식으로 선종 불전각이다.

1950년 한 사미승의 방화로 건물이 소실됐으며, 현재의 건물은 1955년에 재건된 것이다. 금박은 1962년에 이어 1987년에 다시 입혀졌으며, 매년 교토 시민들의 세금으로 보수되고 있다.

일본의 소설가이자 사상가인 미시마 유키오는 이 방화 사건을 모티브로 《금각사》라는 소설을 발표했다. 이 작품은 일본 특유의 탐미주의·유미주의적 작품의 대명사로 많은 사랑을 받는다.

기자는 3월 16일부터 19일까지 간사이 지방의 오사카, 교토, 나라, 고베를 여행하며 로쿠온지를 찾아 그 화려함을 직접 보고 왔다.

금각사 경내도. 사찰 안내리플렛 캡쳐

록원사 경관

옆쪽에서 바라본 금각사와 연못. 사진=우성윤
경내 탑. 사진=우성윤
경내 탑. 사진=우성윤
경내 건물. 사진=우성윤

우성윤 기자의 경험거래소 서비스

우성윤 기자
우성윤 기자
현재 고양시니어신문 기자, 숲해설가와 문화해설가(궁궐해설)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은행에서 30년 근무 했고, 전쟁기념관 도슨트, 성남문화해설사 등으로 활동했습니다.

관련기사

댓글을 남겨주세요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여기에 이름을 입력하세요.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