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령대군(孝寧大君, 1396~1486)은 조선 태종의 둘째 아들이자 세종대왕의 형으로, 학문과 불교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는 과정에 학문적 조언을 했고, 유·불·도 삼교를 조화롭게 이해하며 불교 진흥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淸權은 ‘신중청 폐증권(身中清廢中權)」의 준말이다. 고대 중국 주나라 때 태왕(太王)이 셋째 아들인 계력(季歷)에게 양위하려는 부왕의 뜻을 알고, 큰 아들 태백 (太白)과 둘째 아들 우중(虞仲) 두 형제가 형만(荊蠻)이란 곳으로 가서 머리를 깎고 은거하며 왕의 자리를 양보한 미덕을 후일에 공자께서 높이 칭송한 말로 논어에 나온다.
효령대군 이보(李補)는 1396년(태조 5년) 조선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형 양녕대군, 동생은 임금이 된 충녕대군과 14세에 일찍 죽은 성녕대군이 있다. 효령대군은 아우 충녕대군(세종대왕)에게 성덕이 있음을 알고 학문과 재덕을 숨기면서 왕위를 겸손하게 양보한 미덕을 우중의 행적에 비유해 후일 영조임금이 대군의 사당 이름을 ‘청권사(清權祠)’라고 지어줬다. 1737년(영조13)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사당이 준공됐고, 1789년(정조 13)에 사당의 현판을 내린 사액(賜額) 사당이다.
[관련기사] 덕양구 대자동(大慈洞) 명칭 유래 태종 4째 아들 성녕대군 묘

효령대군은 독서를 즐기고 활쏘기에 능했으며, 효성이 지극하고 우애가 깊었다. 특히 불교에 관심이 많아 1464년(세조10) 옛 흥복사 터에 원각사(圓覺寺)를 짓는 일을 직접 감독했고, 원각경(圓覺經)과 반야심경 등을 우리말로 번역하고 감수했다.
대군은 왕실의 큰 어른으로 존경과 예우를 받으며 천수를 누리다가 1486년 성종17년 5월 11일 91세로 하세해 서초구 방배동에 예장됐고, 배위 예성부부인(해주정씨)은 1470년 성종1년 77세로 죽어 포천에 모셨다가 대군 하세 후 현묘소로 천장(遷葬)했다.
청권사와 효령대군의 묘소는 1972년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된 이후 1980년에 대규모 성역화 공사와 1984~86년에 문화재 보호 구역 공사를 진행하여 묘역을 새로 정비했다. 이 묘역에는 신도비, 구 묘표 2기, 장명등, 문인석 2쌍 등이 남아 있어 조선 초기 대군(大君) 묘역의 규모와 형식을 보여 주는 좋은 자료이다.

청권사 경내 건물


효령대군과 불교
조선 초기는 억불정책이 강화되던 시기였지만, 효령대군은 불교에 대한 신심이 깊어 여러 사찰을 후원하고 불경을 연구했다. 그는 조선 왕실에서 불교를 옹호한 대표적인 인물로, 불교계의 존경받으며 많은 후원 활동을 펼쳤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효령대군은 불교와 유교를 함께 중시하며 조선 사회의 사상적 균형을 맞추려 했다.
• 탑골공원의 10층 석탑 (문화재 지정 : 국보 제2호,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 내)
효령대군이 총감독하여 1467년(세조 13)에 완성했다. 기단부는 3층이고 탑층은 10층으로서 전체를 대리석으로 건조했다. 층마다 여러 불상, 보살상, 천인상 등을 조각했는데 수려하고도 기교적인 면이 조선시대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탑 중에서 예술성이 가장 뛰어난 걸작품이다. 석탑 안에 효령대군이 수교한 ‘원각경언해’와 ‘사리’가 봉인되어 있었다.
• 원각사 대종 (문화재지정 : 보물 제2호,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내)
1467년(세조 13) 효령대군이 도제조(총감독자)가 되어 동(銅) 5만근이 소요되는 주조를 감독했다. 대종은 1536년(중종 31) 원각사에서 남대문으로 옮기고, 1869년(고종 6) 보신각으로 다시 옮겨졌다가 지금은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경내 종각에 안치돼 있다. 지금의 종은 1985년 새로 제작됐다.
• 태안사 바라 (문화재 지정 : 보물 제956호, 전남 곡성 태안사 내)
바라는 한국 전통 악기 중 금부(金部)에 속하는 타악기로 태안사 바라의 한 쪽에는 효령대군과 대덕공주께서 1447년(세종 29) 8월에 조성했다는 사실이 새겨있고, 다른 쪽에는 1454년(단종 2) 개조할 때의 발원 및 시주기가 새겨져 있다.
곡성 태안사는 효령대군 원당과 영당이 있었으나 1879년(고종 16) 겨울 화재로 소진되었다. 현존하는 바라 가운데 규모가 가장 클 뿐 아니라 조선 초기의 금석문 자료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태안사 완문 (소장 : 전남 곡성 태안사 내)
태안사 완문(完文)은 1713년(숙종 39) 2월 종친부에서 태안사 주지에게 내린 문서로써, 태안사는 효령대군의 원당(願堂)이므로 노역과 잡역등을 면제한다는 내용과 시행일자가 기록되어 있다.
잘 읽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독자님, 감사합니다
좋은공부했습니다
감사합니다
Идеальные источники бесперебойного питания для дома, в нашем руководстве.
Рейтинг лучших ИБП, ознакомьтесь.
Преимущества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БП, узнайте больше.
Рекомендации по выбору источников бесперебойного питания, читайте.
Источники бесперебойного питания: что важно знать, узнайте.
Покупка ИБП: на что обратить внимание, познакомьтесь.
Ваш идеальный ИБП, узнайте.
Как работает источник бесперебойного питания, на нашем сайте.
Как продлить срок службы источника бесперебойного питания, в этой статье.
Инновации в области источников бесперебойного питания, в гиде.
Основные рекомендации по использованию ИБП, узнайте.
Как выбрать ИБП для разных нужд, с нашим руководством.
Источники бесперебойного питания: советы и хитрости, в статье.
Рейтинг популярных источников бесперебойного питания, здесь.
Как установить источник бесперебойного питания?, на сайте.
Обзор популярнейших источников бесперебойного питания, в этой статье.
Устранение неисправностей ИБП, получите советы.
Как выбрать ИБП для игры, в нашем обзоре.
Топ-10 источников бесперебойного питания на рынке, получите информацию.
купить ИбП [url=https://istochniki-bespereboynogo-pitaniya.ru/#купить-ИбП]https://istochniki-bespereboynogo-pitaniya.ru/[/ur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