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최초 재배 볍씨 이야기, 고양가와지볍씨박물관

고양가와지볍씨는 1991년 일산 신도시 개발 당시 대화동 일대 가와지마을에서 발견돼 한반도 최초 재배 볍씨로 측정됐다. 신석기시대에 인간이 재배한 가와지볍씨는 한강 농경문화권을 중심으로 벼농사가 이뤄졌음을 확인해주는 귀중한 자료다.

한반도 벼농사의 시작은 청동기시대부터라고 알려져 있었지만, 1991년 충북대학교 발굴팀의 가와지볍씨 발굴을 통해 훨씬 이전인 신석기시대란 사실이 증명됐다. 고양가와볍씨는 5020년 전 한반도 농경문화의 기원이 바로 고양 지역이며, 한강문화권을 중심으로 벼농사가 이뤄졌음을 확인해 주는 귀중한 자료다.

이 볍씨의 의미를 기록한 공간이 바로 고양가와지볍씨박물관이다. 박물관은 제1~3전시실과 야외전시실이 있다. 핵심은 제1전시실이다. 고양가와지 유적실로, 5020년 전 가와지볍씨가 출토된 1991년 대와리 가와지 마을 발굴현장을 50분의 1로 축소해 재현한 공간이다. 가와지볍씨, 주먹도끼, 토기 등이 함께 전시돼 있다.

재배 볍씨의 부분별 명칭. ‘소지경’은 재배 볍씨의 단서가 된다. 사진=우성윤 전시관 전시판 촬영

재배 볍씨의 단서인 ‘소지경’

‘소지경’이란 벼의 줄기 부분과 낱알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자연탈립인지, 인위적인 채취가 있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단서다. 가와지볍씨의 소지경에 인공적인 탈립의 흔적이 있어 인위적으로 떼어내 표면이 거칠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야외 전시장에는 잔디 광장, 선사시대 움집, 가와지볍씨 생태 논, 쉼터, 조선시대 농경과학기기 등이 있다. 사진=우성윤

관람정보

매주 일요일과 공휴일을 제외한 월요일부터 토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관람 가능하다. 관람료는 무료. 예약하면 문화해설사의 해설을 들을 수 있다. 문의 : 031-8075-4275, 031-968-3399.

찾아가는 방법 ▲ 버스는 가시골, 원흥동 하차(도보 5분) ▲ 지하철은 3호선 원흥역 4, 5번 출구를 이용 도보 5분.

우성윤 기자
우성윤 기자
현재 고양시니어신문 기자, 숲해설가와 문화해설가(궁궐해설)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은행에서 30년 근무 했고, 전쟁기념관 도슨트, 성남문화해설사 등으로 활동했습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