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에 마지막 개방된 조선 왕릉, 효릉(서삼릉 내)

조선 왕릉은 조선왕조의 유구한 역사와 함께 조선 왕실의 죽음의 세계, 그리고 그들을 기리는 후손들의 경건함과 엄숙함이 깃든 한국의 대표적 문화유산이다.

조선 왕족의 무덤은 모두 119기(능 42기, 원 13기, 묘 64기)가 있다. 능 42기 중 북한에 있는 2기(제릉-태조 원비 신의왕후의 능, 후릉-정종과 정안왕후의 능)를 제외하고는 모두 남한에 있다.

2009년 6월 26일 제33차 세계유산위원회는 조선 왕릉의 독특성을 인정해 남한에 있는 왕릉 40기, 원 13기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했다. 이때 주변 환경 변화가 심해 당장 개방이 어려운 일부 능은 환경개선을 조건부로 등제했다. 문화재청은 지정 받은 후 정비를 거쳐 39개의 능을 순차적으로 일반에 개방했다.

미개방으로 마지막 남은 효릉 주변에는 국내 농가에 젖소 종자를 공급하는 ‘젖소개량사업소’가 있다. 이 시설은 동물감염에 취약한 관계로 시정조치가 길어져 40기 중 마지막으로 지난 9월 8일 일반인에 개방했다.

현재는 하루 3회(10시, 13시, 15시), 회당 30명씩 사전 예약을 통해 관람할 수 있다. 관람 시간은 약 2시간이며, 전문해설사가 안내한다.

효릉의 능침. 인종(1515~1545)과 인성왕후(1514~1577)의 능. 인종의 봉분에만 병풍석을 둘렸다. 사진=문화재청국가문화유산포털

효릉은 조선 제12대 왕인 인종(재위 1544∼1545)과 인성왕후(1514~1577)의 능이다. 효릉은 같은 언덕에 왕과 왕비의 봉분을 나란히 조성한 쌍릉 형태다. 정자각 앞에서 바라볼 때 왼쪽이 인종, 오른쪽이 인성왕후의 능이다.

그외 개방지역

관리사무실 왼쪽으로 들어가면 전국에 흩어져 있던 왕, 세자, 대군, 군, 공주, 옹주 54기가 일제강점기 관리 목적으로 옮겨온 태실이 있다. 또한, 서울 근교에 자리 잡고 있다가 개발과 도시화에 밀려 갈 곳을 잃은 왕실의 무덤군도 있다.

태실. 왕, 세자, 대군, 군, 공주, 옹주 54기 태실비. 사진=우성윤
왕자 왕녀묘. 사진=우성윤
회묘. 성종의 폐비이자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윤씨의 묘. 1969년 지금의 경희의료원 자리에 있던 것을 옮겨왔다. 사진=우성윤
우성윤 기자
우성윤 기자
현재 고양시니어신문 기자, 숲해설가와 문화해설가(궁궐해설)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은행에서 30년 근무 했고, 전쟁기념관 도슨트, 성남문화해설사 등으로 활동했습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